대한요양보호사협회 광주지부(이선화 지부장) 총회를 활짝웃는 미소로 맞이한 광주지부 임원진(사진 대한요양보호사협회 광주지부)

대한요양보호사협회(고재경 협회장)가 광주지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요양보호사의 권익 향상과 제도 혁신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잇달아 내며 돌봄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수급자 서명 의무화 폐지’라는 상징적 제도 개선을 이뤄낸 것은 전국 요양보호사 현장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고 있다.

지난 1년의 성과와 앞으로 다짐과 과제를 열띤 토론으로 이끌어낸 이선화 지부장

▶ 조직 정비와 지역 역량 강화

지난해 11월 22일 공식 출범한 광주지부는 설립 초기부터 조직 기반을 정비하는 데 힘써왔다. 10월 14일 열린 지부총회에서는 새 운영위원회를 선출하고 5개 구 지회장단을 정례 조직으로 편성해 지역별 소통을 강화했다.

대한요양보호사협회 광주지부(이선화 지부장)는 “회원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이라는 마음으로,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가겠다”라고 말했다.

전국 단위 조직인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의 고재경 협회장은, 광주지부의 조직 안정화와 활동력 강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협회 차원에서의 제도적 기반 확충에 주력하고 있다.

각 지회별 임원소개로 서구지회 소개

▶ “범죄자로 몰던 제도, 이제 바꾼다.”

가장 주목받는 성과는 수급자·보호자 서명 의무화 폐지 추진이다.

현재 요양보호사는 매 서비스 제공 후 수급자나 보호자의 서명을 받아야 하는데, 만약 누락되면 ‘부정 수급’ 혐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이어져 왔다.

협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항의 방문 등 강경한 대응을 감행하며 “‘잠재 범죄자’ 취급은 종료돼야 한다”라고 강하게 문제 제기했다.

그 결과, 보건복지부가 공식 문서를 통해 서명 의무화를 폐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협회의 오랜 염원을 제도적 성과로 연결한 상징적 순간으로 평가된다.

더 큰 돌봄사회로 향한 지역사회 역할을 약속하고 수급자 서명 의무화 폐지를 관철시킨 임원진

▶ 처우 개선 위한 제도 개편 본격화

광주지부는 또 다른 핵심 과제로 요양보호사 호봉제 및 표준임금제 도입을 내세웠다.

현행 임금 구조는 장기 근속자도 미미한 임금 인상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숙련 인력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 돌봄 인프라를 구축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광주지부는 오는 11월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고 전국 공론의 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모처럼 한자리에 모인 광주지부를 이클어 갈 한사람 한사람의 인사와 포부를 듣는다.

▶ 구성원 복지, 자긍심 제고에도 앞장

단순한 조직 활동을 넘어 회원 복지 향상에도 공을 들였다.

출범 1주년 기념으로 요양보호사 자녀 장학금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고, 모범 종사자 표창을 통해 현장 헌신을 발굴·격려할 예정이다.

광주지부 측은 “이 작은 노력이 돌봄 현장의 사기를 북돋우고, 직업적 자긍심을 높이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대한요양보호사협회 광주지부 고문, 운영위원장, 대외협력총괄위원장 임명장 전달

▶ “지금이 전환기, 더 큰 돌봄사회로”

고재경 협회장은 “요양보호사는 단순 보조 인력이 아니다. 국민의 삶을 지탱하는 돌봄 전문가”라며 “협회는 앞으로도 제도 개선과 권익 향상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는 다짐을 내놨다.

이선화 지부장은 “광주지부는 한 사람의 외침도 듣고 반영하는 열린 조직이 될 것”이라며 “회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현장에 설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출범 1년은 광주지부의 도약을 알리는 서곡(序曲)이었다.

그리고 고재경 협회장과 이선화 지부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열정이 그 서곡을 더욱 빛나게 했다. 대한요양보호사협회가 펼쳐나갈 다음 장(章)을 향해, 많은 이들의 기대가 집중되고 있다.